중소기업청은 7월부터 보조금 집행사업에 클린카드를 의무화했다. 더군다나 사용제한업종까지 명시해주는 친절함까지 보였다. 어느 해부터인가 정부지원사업에 카드사용이 의무화되기 시작했다. 이 바람은 대학가에도 불어 모든 재정집행을 법인카드로 하는 곳도 생겼다. 모두가 알다시피 정부는 한해 수많은 돈을 말그대로 공중에 뿌려댄다.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정부지원사업에서 얻는 보조금을 '눈먼 돈'이라고 칭한다. 정부가 하는 모든 일에 돈이 있고, 또 이 돈이 눈이 멀었으니 누구나 아는 놈은 가져가고 모르는 놈은 평생 못 가져간다는 말이다. 정부는 재정집행을 투명하게 한다는 목적으로 정부예산집행에 카드사용량을 늘리고 있다. 그러나 과연 이것이 투명사회를 바라는 국민들의 여망을 지켜주는 목적인지 전시행정인지는 좀더 세밀히 알 필요가 있다.
과거 농어민에게 지급해주는 면세유는 전표로 처리됐다. 농어민이 주유소에 면세유전표를 가져가서 세금을 띤 가격만큼 돈을 주면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어주는 식이다. 이게 면세유카드시스템으로 바뀐지는 얼마되지 않았다. 이렇게 바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면세유 단속에 걸리는 농민과 석유유통업자들은 많다. 비단 이것뿐이랴. 정부가 재정집행을 투명하게 한다며 보조금카드를 대신 내어줬으나, 보조금 부정사용 사례는 아직도 간간한 뉴스다. 또한 지자체 수장들이 개인적인 목적의 용처를 법인카드로 처리하고 간단한 영수증처리하는 일도 부지기수다. 화물차에 지급되는 유가보조금 역시 카드깡이 판친다. 조금 다른 펙트이지만, 저소득층이 희망근로사업을 통해 번 돈으로 주류 등을 사지 못하게 하려고 근로상품권을 만들었으나, 일부 몰지각한 점주들은 간간히 깡을 쳐주기도 한다. 사회를 투명하게 만든다고 한 정책이 전혀 쓸모꺼리가 없는 것이다.
또 한가지 의심이 드는 것은 모종의 결탁이다. 현재 농어민에게 지급되는 면세유는 A카드에서만 취급한다. 화물차주에게 지급되는 유가보조금카드는 B카드에서만 취급한다. 비닐하우스 큰거 한동에 대한 면세유는 1년에 1만 리터정도 된다. 세상에 비닐하우스가 몇개나 있는가. 어민에게 지급되는 면세유는 농민보다 갑절이다. 또 우리는 거리에서 화물차를 손쉽게 볼 수 있다. 유가보조금에 해당되는 화물차는 1톤 이상의 모든 영업용 차량이다. 이 모든 세제혜택자들이 누리는 가치의 0.015%는 카드사에 바쳐지는 '눈먼 돈'이다. 타 부처의 사정은 잘 모르지만, 대부분 독점적으로 1개의 카드사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에서 비리가 싹틀 수 있고 그 과정에 옳게 바라만 봐지지 않는 유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2008년 농어민 면세유 공급량은 농업용 1조 1500억 원, 어업용 6000억 원으로 모두 1조 7500억 원이었다. 이 금액에 주유소 카드수수료율 0.015%를 곱하면 262억 5000만 원이 전부 특정 카드사의 주머니로 쏙 들어가버린 것이다. 2010년 1월부터 10월까지 화물차 유가보조금 지급액은 1조 3500억 원이다. 똑같이 0.015%를 곱해보면, 202억 5000만 원이다. 이도 특정 카드사의 주머니로 쏙 들어간 국민의 혈세다. 결국 클린사회를 외친다면 보조금 집행을 카드로 바꿨지만, 클린사회는 못이루고 카드사 배만 불려준 셈이다.
오늘도 어느 정부부서에는 국민의 세금이라는 독에 구멍이 뚫려있다. 쥐새끼들은 냄새를 실실 맡고 와 곡식을 쪼아댄다. 한 사업에 대해 독점적 지위를 갖은 카드사는 정부부처 고위직과 좋은 관계만 유지하면 된다. 유가보조금이 늘던지, 기술보조금이 늘던지하는 소식는 아주 반가운 뉴스다. 수입이 더 짭짤해지기 때문이다. 클린카드의 도입에 앞서 보조금 사업자 선정을 더욱 투명히 해야한다. 허수아비 심사위원들이 뽑아놓은 부정한 보조금 헌터들이 세금을 가지고 장난치는 것을 이제는 금해야 한다. 그래서 혹시라도 보조금 집행사업이 잘못 됐을 경우, 심사위원 역시도 형사처벌을 해야 한다. 보조금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유착을 방지하기 위해 민간의 옴브즈만 제도를 도입해봄도 괜찮다. 사업자 선정되면 그 모든 결과를 감사원으로 이송해서 과정에 문제가 없는지 따져보는 이중감사도 도입해야 한다. 또 무엇보다 독점적인 지위를 가진 카드사를 견제하기 위해 보조금카드 사업자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 특정 카드사가 이익을 모두 차지하는 것을 막아 애초부터 싹틀 수 있는 유착을 아예 잘라버리는 것이다.
<copyright to NapSap, http://cocc.tistory.com>
<출처를 밝히지 않는 무분별한 펌질은 고소와 고발의 대상이 됩니다>
블로거를 더욱 블로깅질에 매진하게 해주는 당신의 아름다운 클릭!!!
'Co-Culter Club > 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걸리만 팔지말고, 문화도 얹어 팔아라 (2) | 2011.07.18 |
---|---|
공영주차장 차라리 짓지 마라! (3) | 2011.07.18 |
복합커뮤니티, 지역상권 재편한다 (0) | 2011.07.16 |
도심의 생멸, 재개발이 성공할 수 없는 건 이유가 있다. (0) | 2011.07.11 |
연금복권? 국민을 호구로 보는게 분명하다. (0) | 2011.07.09 |